1. 회계의 의미
1. 회계란 무엇인가?
회계란 기업의 재무상태를 측정하여 이해관계자들에게 정보로 전달하는 과정을 말한다.
측정대상이 되는 것과 정보 전달은 받는 정보이용자가 존재한다.
측정대상-기업의 경영활동으로 재산의 변동, 즉 자산, 부채, 자본의 변동과 기업의 수익활동, 수익과 비용, 이익과 같은 내용을 측정하고 기록하는것. 이것을 회사의 재무정보라 한다.
2. 재무상태와 경영 성과
회사의 재무정보는 크게 재산상황과 수익상황으로 나뉜다.
(1) 재산상황의 정보(재무상태)
재산상황이란 회사의 총 재산, 투자자가 투자한 자본, 채무상황까지 보고한다.
회사의 재산을 ’자산’.
투자자가 회사에 투자한 돈을 ‘자본’
외부로부터 차입하여 빚을 지게 된 것을 ‘부채’
재산상황을 일자별로 거래 내용에 따라 그 상황이 달라진다.
재산상황의 보고는 일정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시점의 재산상황을 보고하여야 한다.
(2) 수익상황의 보고(경영성과)
수익상황이란 회사가 경영활동을 통해 번돈, 사용한돈, 그에 따른 순수익이 얼마인지 나타냄.
벌어들인 돈 ’수익‘
사용한 경비 ’비용‘
어느 시점만의 상황을 보고할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일정기간을 정하여 그 기간의 수익상황을 보고한다.
(3)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의 보고수단
재무정보는 ‘재무제표‘라는 문서로 보고함.
기업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경영활동을 기록->재무제표 작성
재산상황-재무상태표
수익상황-손익계산서
재무정보 기록 - 재무제표를 통해 정보이용자에게 정보 제공
(4) 회계기간
재무상태 - 일정시점의 정보
경영성과 - 일정기간의 정보
회계기간 - 회계를 이용하여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측정 밎 보고하기 위해서 일정기간 단위로 거래를 파악. 기업의 경영성과와 재무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시간적인 개념.
3. 재무정보이용자
기업이 제공하는 재무정보의 이용자는 크게 투자자, 채권자, 기타정보이용자로 구분.
(1) 투자자
기업실체가 발행한 지분증권(주식) 또는 채무증권(회사채)에 투자한 자 등을 말한다.
(2) 채권자
기업에 대해 법적 채권을 가지고 있는 자금대여자.
일반적으로 은행 등 금융기관이다.
(3) 기타정보이용자
경영자, 재무분석가, 신용평가기관 같은 정보중개인, 조세당국, 감동`규제기관 및 잠재적 투자자 등을 말한다.
4. 단식부기와 복식부기
복식부기-하나의 거래에 대해 두 가지 이상을 기록하는 회계시스템. 현금뿐만 아니라 현금 이외의 모든 재산을 대상, 그 기록에 대해서 오류검증 가능. 현대의 모든 기업은 복식부기의 원리를 기본으로 한 회계제도 채택.
복식 기록은 하나의 사건을 왼쪽(차변),오른쪽 (대변)으로 나누어 기록함.
단식부기-하나의 거래에 대하여 현금의 증감과 같은 한가지 기록만 수행(예-가계부). 현금의 유출과 유입에 따라 장부기록하므로 현재 장부에 기록한 금액과 실제로 보유한 현금이 일치하는지 여부만 알 수 있다. 현금을 제외한 재산의 변동 여부는 알수 없다. 현금 기록에 대해서도 오류 검증할 방법 없다.
'세무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손익계산서의 기본개념 (26) | 2024.11.25 |
---|---|
02. 재무상태의 기본개념 (1)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