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손익계산서의 의의
(1) 의미
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의 경영성과, 즉 수익과 비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재무제표이다.
(2) 양식

2. 손익계산서의 계정
기업의 경영성과는 영업활동을 통해 얼마의 이익을 냈는지 여부에 달려있다.
이익이란 회사가 얻은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것-순이익
<수익의 종류>
매출액 - 상품, 제품을 판매하거나 용역을 제공하고 얻은 수익
임대료 - 건물이나 토지 등을 임대하고 얻은 수익
이자수익 - 은행에 예금에 금액에 대하여 받은 이자
수수료수익 - 수수료 수취로 인한 수익
<비용의 종류>
매출원가 - 매출된 상품, 제품의 원가
급여 - 종업원에게 지급하는 근로의 대가
광고선전비 - TV, 라디오, 신문, 인터넷 등에 광고선전을 위하면 지출하는 비용
임차료 - 부동산과 점포, 사무실, 기계장치 등을 빌린 경우에 지급하는 대가
감가상각비 - 건물, 기계장치 등 유형자산에 대한 원가배분액
이자비용 - 차입금에 대해 발생하는 이자
세금과공과 - 각종 세금이나 공과금 납부액
보험료 - 화재보험, 자동차보험 등의 납부액
도서인쇄비 - 각종 도서, 잡지, 신문구독료 지출액
접대비 - 사업과 관련된 거래처 접대로 인한 지출액
수선비 - 사업용 자산의 수선비용 지출액
3.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관계
기업의 경영성과는 영업활동을 통해 얼마의 이익을 냈는지 여부에 달려있다.
이익 -회사가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것.
재무상태표에서 이러한 이익을 통하여 증가된 부분을 ‘이익잉여금’이라는 계정에 기록한다.
(1) 순자산 증가에 따른 손익의 증감계산
기업의 경영활동은 계속해서 재산의 변동을 가져온다.
재산의 변동 중 재산이 증가되었다면 히사는 이익을 보게 된 것이고, 재산이 감소하였다면 손실을 보게 된 것이다.
1월 1일의 재산과 12월 31일의 재산을 비교하면 회사에 이익이 난 것인지 손실이 난 것인지를 파악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재산이란 ‘순자산’을 의미한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이 결국 소유주의 것이므로 순자신이 증가된 부분을 이익으로 인식하는 개념이다
기말순자산 - 기초순자산 =(+) 당기순이익
(기말자본). (기초자본). (-) 당기순손실
(2) 자본등식
수익의 증가는 이익을 증가시키므로 자본을 증가시키고, 비용의 증가는 이익을 감소시키므로 자본을 감소시킨다.
당기순손익은 기말자본을 변화시킨다. 회계기간 중 다른 자본거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산식은 아래와 같다.

'세무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재무상태의 기본개념 (1) | 2024.11.24 |
---|---|
01. 회계의 기본개념 (2) | 2024.11.23 |